전체 글 145

시인은 어떻게 태어나는가(15) 어쩌면 얘들도(초3 황정우)

어쩌면 얘들도 초3 황정우 동네 연못을 지나치다 깜짝 놀라 살펴보니 거대한 붉은귀거북 한 마리가 엉금엉금 도서관에서 책을 읽다 눈에 띈 괴상한 물고기 하마처럼 입이 큰 배스가 쩌억 어느 여름 동네 뒷산을 오르다 계단 손잡이에서 발견한 징그러운 날벌레 울긋불긋 꽃매미 파티 사람들은 말하지요. 얘네들은 생태교란종이라고. 모두 다 없애야 된다고. 그치만 얘들도 생태교란종이 되길 원했을까요? 어쩌면 얘들도 ..... 생태교란종이 아닐지도 몰라요.

쥘 베른/윤진 번역, 80일간의 세계 일주, 비룡소

우리는 지구촌에서 살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애니메이션 (2025)가 전세계적으로 큰 화제입니다. 한국의 K-POP 아이돌을 소재로 일본의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작품으로 전세계 넷플릭스 순위 1위를 차지했을 뿐만 아니라 수록된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역시 세계 최대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Spotify)에서 1,2위를 다투고 있습니다. 이미 한국에서 제작된 (2021) 같은 드라마가 전세계인들의 사랑을 받은 바 있고, BTS나 블랙핑크 같은 인기 아이돌 그룹들이 미국 토크쇼 프로그램에 출현해 컴백을 알리는 경우가 자연스러워진 마당에 더 이상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일이긴 합니다. 그런데 네플릭스와 같은 전세계적 배급망을 가진 OTT(Over-the-top mdedia serv..

키무라 유이치/김정화 번역, 폭풍우 치는 밤에, 아이세움

염소와 늑대는 어떻게 친구가 될 수 있었을까 현실에서 육식동물인 늑대와 초식동물인 염소가 우정을 쌓고 친구로 지내기란 거의 불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늑대는 염소를 잡아먹어야 살 수 있고, 염소는 그런 늑대로부터 도망쳐야 목숨을 부지할 수 있다는 게 타고난 운명이기 때문입니다. 예술의 위대한 점은 이런 불가피한 삶의 조건을 역전시켜 상상하도록 하고, 그럼으로써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꿈꾸게 한다는 것입니다. 1994년 처음으로 출간된 이래 극장용 애니메이션이나 뮤지컬로 제작되어 지금껏 꾸준히 사랑받아온 키무라 유이치의 동화 역시 그렇습니다. 염소 메이와 늑대 가부는 물을 퍼붓는 것처럼 세찬 폭우가 내리던 한밤중에 작은 오두막에서 우연히 만났습니다. 화창한 한낮에 만났다면 필사적으로 쫓고 쫓기는 상황이 발..

크리스티앙 레만/이정주 번역, 우리 집 하수도에 악어가 산다, 시공주니어

프린느의 삶은 왜 엉망진창이 되었나 소설이나 동화, 심지어 영화나 연극 같은 서사 장르를 효과적으로 읽는 방법 중 하나는 주인공이 직면한 주된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이야기는 초반에 핵심 갈등을 제시하고, 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사건들이 전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갈등이 충분히 설득력 있게 제시될 때 독자는 주인공에게 쉽게 감정이입하게 되어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습니다. 만일 이야기 초반에 제시되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포착하지 못했을 경우 이후 전개되는 이야기를 따라가는 것조차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동화의 주인공 프린느의 삶은 동생 토마스가 세 살이 되면서부터 엉망진창이 되었습니다. 프린느에게 저녁 목욕 시간은 따뜻한 물에 몸을 푹 담..

아스트리드 린드그렌/햇살과나무꾼 번역, 에밀은 사고뭉치, 논장

'좋은 동화'는 '좋은 문학'이어야 한다 소설가 한강은 자신에게 영감을 준 작가들 중 한 명으로 스웨덴의 동화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을 언급했습니다. 그는 "인간과 삶, 죽음에 대한 의문을 과 연관지을 수 있었다."면서도 “그(린드그렌)가 내 어린시절에 영감을 준 유일한 작가는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스웨덴의 노벨위원회에 대한 인사치레로 한 말이었겠으나 동화가 한 명의 위대한 영혼을 탄생시키는데 커다란 자양분이 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해 보입니다. 그럼에도 동화는 어린이나 읽는 수준 낮은 문학으로 폄하되곤 합니다. 어려운 글로 쓴 소설에 비해 쉬운 글로 쓰여져 있고, 어른의 눈으로 볼 때 유치하고 장난스럽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이들이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나 그들의 삶과 동떨어진 작품..

(융합수업) 사진으로 시쓰기, 시로 사진 찍기_디카시

어떻게 하면 시와 친구가 될 수 있을까 대다수의 어른들은 물론이고 상당수의 아이들은 유독 시라는 장르를 기피하고 꺼려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겠으나 가장 일차적인 원인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잘못된 시 교육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국민학교'를 다녔던 시절과 다름없이 여전히 중요 구절에 밑줄 긋고 선생님이 일방적으로 뜻 풀이한 것을 받아적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시대가 달라졌건만 왜 시 교육은 수 십 년 전에 그대로 머물러 있을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시가 시험 문제로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시험을 잘 보기 위해서 시를 배우고 공부하니 시가 재미없고 어렵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시인조차도 자신이 쓴 시에 대해 출제된 문제를 맞추지 못했다는 ..

미디어 교육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