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년별 책읽기/3학년

로알드 달/햇살과나무꾼 번역, 멋진 여우 씨, 논장

ddolappa72 2025. 2. 8. 12:31

 
계란은 어떻게 바위를 깰 수 있을까

하찮은 힘으로 도저히 대적할 수 없는 상대에게 도전하는 상황을 일컫는 말로 '계란으로 바위 치기'란 속담이 있습니다. 깨지기 쉬운 연약한 껍질을 가진 계란으로 단단한 바위를 깨려고 하는 것만큼 무모하고 어리석은 행동이란 뜻입니다. 비슷한 말로 적은 수효로 많은 수의 무리를 맞설 수 없다는 사자성어인 '중과부적(衆寡不敵)'도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옛 선인들은 소수가 다수에 맞서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가능성도 지혜로 남겨두었습니다. 물방울들이 떨어져 돌을 뚫는다는 뜻의 사자성어 '수적천석(水滴穿石)'이 그 예입니다.  아무리 보잘 것 없는 시도라고 끊임없이 이루어질 경우 마침내 바위를 꿰뚫게 된다는 것입니다. 약자들이 강자들에 맞설 수 있는 무기는 무한한 인내심과 끈기라는 뜻으로 읽힙니다.

불의한 강자에 맞서 싸워 약자가 승리를 거둔 사례로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이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양치기 소년 다윗은 키가 2 미터가 넘는 블레셋의 거인 골리앗을 돌팔매로 쓰러뜨렸습니다. 다윗은 어떻게 골리앗을 상대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일까요? 거대한 몸짓과 막강한 힘을 지닌 용사였던 골리앗은 연약하고 자그마한 소년 다윗이 전장터에 등장한 순간 어처구니가 없어 실소를 터뜨렸을 것입니다. 감히 저런 핏덩어리 어린애가 자신과 대적하려하다니! 강자가 상대를 얕보고 방심한 바로 그런 순간이 약자에게 기회의 순간이기도 합니다. 다윗은 자신에게 불리한 근접전 대신 돌팔매를 이용한 원거리 전투를 선택하는 지혜를 발휘해서 불가능해 보였던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다윗의 지혜를 계란에 적용시켜 보면 계란이 바위를 깨는 것도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계란이 바위에 난 미세한 균열을 찾아 자신의 체액을 스며들게 해서 얼릴 수만 있다면 바위를 두동강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작지만 영리한 주인공이 크고 힘센 악당을 이기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동화가 많은 이유는 어른들에게 둘러싸인 세상에서 힘없고 몸집도 작은 아이들은 항상 약자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약자인 주인공에 감정이입해서 그의 승리에 감격하고, 지혜와 용기를 배우게 됩니다. 세계적 아동 문학 작가 로알드 달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멋진 여우 씨>도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를 변주하고 있습니다. 비열하고 탐욕스런 농장 주인들은 여우 씨와 가족들을 핍박하고 몰살하려 하지만, 꾀많은 여우 씨는 자신의 땅 파기 기술과 지혜를 이용해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로알드 달의 '멋진 여우 씨'를 원작으로 웨스 앤더슨이 감독한 영화 <판타스틱 Mr. 폭스>의 포스터


여우 씨는 왜 농장의 닭을 훔쳤을까

여우와 농부들 간의 전쟁이 시작된 계기는 여우가 농부들의 농장에서 가축들을 훔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여우는 도둑질을 해야만 했을까요? 여우와 오소리 간의 대화에서 그 단서가 제공됩니다. 농장에서 도둑질하는 것을 꺼림칙해 하는 오소리에게 여우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보게 털복숭이 친구, 자식들이 굶어 죽어 가는데 닭 몇 마리 슬쩍하지 않을 부모가 이 세상에 어디 있겠나?" 여우는 단지 먹을 것을 좀 가져다가 식구들을 먹여 살리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말합니다. 여우의 사정은 딱하지만 그렇다고 그의 절도를 정당화해야 할 지 망설여집니다.

여우가 가족들을 위해 농장의 가축들을 도둑질한 이유를 조금 더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 약간의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여우는 숲 속에 사는 다른 동물들을 사냥해서 먹이로 삼습니다. 그런데 여우가 생존을 위해 굳이 사냥 대신 절도를 할 수밖에 없었던 데는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요. 

농장주들인 보기스, 번스, 빈은 자신들의 재산에 피해를 입힌 여우를 잡기 위해 굴착기를 동원합니다. 그들은 여우굴이 있는 언덕을 파헤쳐서 하룻밤만에 마치 화산의 분화구 같은 거대한 구덩이를 만들고 숲의 절반을 없애버렸습니다. 그리고 백 하고도 여덟 명의 일꾼을 총과 손도끼 그리고 권총으로 무장시켜 여우는 물론이고 그 어떤 동물도 언덕을 빠져나갈 수 없게 감시했습니다. 그 때문에 오소리, 두더지, 토끼, 족제비 같은 굴에 사는 동물들 전체가 굶어죽을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농장주들이 무자비하게 숲을 파괴한 행위는 여우가 그들의 농장을 습격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시사합니다. 그들은 농장을 짓기 위해 숲을 훼손했고, 그로 인해 여우의 먹잇감이 줄어들고 터전을 잃은 여우 씨는 어쩔 수 없이 농장의 가축들을 훔쳐야만 했던 것입니다. 이런 생태학적 상상은 아이들이 혼자 책을 읽고 생각해내기 어려운 것입니다. 

여우 씨는 굴파기를 통해 농장들의 저장고에서 식량을 훔칠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그는 농장마다 그득 쌓여 있는 몇천 마리의 닭, 몇천 마리의 오리와 거위, 몇천 마리의 칠면조를 발견하데 됩니다. 이렇게 먹을 것이 넘처나는데도 세 농부는 남에게 공짜로 나눠주는 것을 싫어해서 여우 씨와 그 가족들을 잡아죽이기 위해 압도적인 폭력을 동원합니다. 욕심과 탐욕을 채우기 위해 공존 대신 상대의 멸절을 선택한 농부들에 대항하기 위해 여우 씨는 과연 도둑질말고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요?
 

영화 <판타스틱 Mr. 폭스>의 한 장면



좋은 질문은 더 나은 이해로 이끈다

'왜 여우 씨는 도둑질을 했을까?'라는 질문을 통해 농부들의 환경 파괴와 그들의 욕심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만약 이런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면, 그리고 질문에서 파생되는 또다른 질문을 파고들지 않았다면,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에 도달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책을 통해 아이들의 생각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핵심적인 질문을 그들에게 던질 수 있어야 합니다. 더 좋은 것은 이런 질문을 반복해서 아이들 스스로 그런 질문을 만들어내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책에 대해 아이들이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는 책의 제목이 왜 '멋진 여우 씨'인가 하는 것입니다. 작가는 여우 씨의 어떤 점을 '멋지다'고 생각한 것일까요?

오랫동안 굶주려서 너무 쇠약해진 여우 부인은 남편이 굴을 파서 보기스의 통통하고 커다란 암탉을 훔쳐오자 이렇게 말합니다. "아, 네 아빠는 정말 멋진 여우야!" 죽을 위기에 처한 자신과 가족을 구한 든든한 남편을 보고 멋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텍스트에 명시된 답을 찾아내는 것만으로 텍스트를 충분히 이해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진정한 독해력은 쓰여 있지 않은 것을 읽어내는 능력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살짝 힌트만 주어도 금방 눈치를 채고 다양한 해답을 찾아낼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여우의 또다른 멋진 모습을 찾아보라고 하면, 아이들은 농부들이 막강한 무력을 동원해서 그렇게 괴롭히는데도 꾀를 내서 그들의 농장에 굴을 뚫고 식량을 탈취해내는 모습이 멋지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얻은 식량을 혼자서만 먹지 않고 농부들 때문에 집을 잃은 다른 동물들을 초대해 함께 나눠 먹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어렵고 힘들었을 텐데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태도를 닮고 싶다고도 합니다.

이처럼 좋은 질문은 한 사건에 대해 그리고 한 인물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시야를 트여줍니다. 한 가지 사안을 여러 시점에서 살펴보고 접근하면서 사고의 폭도 넓어지고 생각의 깊이도 깊어지게 됩니다. 나아가 책을 읽고 스스로 질문을 던지는 연습을 반복하면서 책을 능동적이면서 비판적인 태도로 읽을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책을 다 읽고 나면 반드시 질문을 던져 보아야 합니다. 그래서 너는 그 책에서 무엇이 궁금했니? 너는 그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