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2

손창섭, 싸우는 아이, 우리교육

주인공은 왜 싸우는 아이가 되어야 했나 4.19 혁명의 정신은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전문에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고 명시될 만큼 중요한 역사적 경험입니다. 서양의 근대적 민주정이 프랑스 혁명으로 대표되는 시민혁명을 통해 형성되었듯이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자유 민주주의의 정치체가 독재자 이승만을 시민들의 손으로 내쫓고 시민이 나라의 주인이 되는 저 역사적 경험에 연원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민으로서의 개인'을 발견하게 된 정의로운 항거는 비록 이듬해 박정희가 주도한 5.16 군사 쿠데타에 의해 좌절된 듯 보였지만, 경제 발전을 명분으로 내세운 군사정부도 4.19혁명의 경험..

시인은 왜 그 섬에 가고 싶어 했을까?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정현종의 시 '섬' 전문)  시인은 왜 그 섬에 가고 싶어 했을까? 아이들에게 정현종 시인의 시 '섬'을 읽고 화자는 왜 섬에 가고 싶다고 했는지 말해 보라고 합니다. 한 학생이 이렇게 말합니다. "화자는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고 싶어하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 사이에 있는 섬에 가고 싶다는 뜻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어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 같습니다." 그러자 다른 학생이 이렇게 말합니다. "저는 저 친구와 반대로 해석했는데요. 섬은 육지에서 떨어진 고립된 곳이니까 섬에 가고 싶다는 것은 화자가 사람들로부터 떨어져 혼자 있고 싶어 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 같아요." 과연 이 두 학생의 해석 중 어떤 해석이 더 그럴 듯해 보이나요? 정현종의 시 '섬'은 단 두 ..